
[미디어태희]
충북도가 충북도립대 사상 최대의 비리의혹 당사자들인 총장과 교수 등 5명에 대한 징계를 의결했으나, 꼬리자르기식 처분이라는 비난이 나오고 있습니다.
충북도는 지난 27일 특별징계위원회를 열고 김용수 도립대 총장을 해임의결했습니다.
해임은 파면 다음의 징계처분으로 퇴직금 등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또한 박모 교수(전 교학처장), 김모 교수(전 기획처장), 조모 교수(전 산학협력단장), 윤모 교수(전 학습지원센터장)에 대해서는 파면이나 해임이 아닌, 강등이나 정직처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로써 김영환 지사의 조카인 조 교수, 김영환 지사의 인수위원회 위원이었던 박 교수는 교수직을 유지하게 됐습니다.
이에 대해 충북도립대의 한 관계자는 “이번 징계는 장난치는 거나 마찬가지”라면서 “경찰수사 결과로 이들의 처분을 미루는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충북도립대는 징계와 함께 후임 보직교수들을 임명하면서 속전속결로 ‘흔적 지우기’에 나섰습니다.

도립대는 교학처장에 나기열 교수. 기획처장에 정재황 교수, 산학협력단장에 최문석 교수, 학습지원센터장에 이상한 교수를 임명했습니다.
다만, 충북경찰청의 수사가 진행중이어서 이들의 범죄혐의가 어느 정도 드러날지, 그 이후에 추가징계가 이뤄질지 주목됩니다.
30일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는 논평을 내고 “충북도지사는 도립대 감사 결과를 직접 밝히고 도민에게 사과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는 “도립대 관련 의혹은 단순히 제주도연수에 국한되지 않고, 타 연수・출장, 워크숍은 물론, 기자재 및 홍보용품 빼돌리기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면서 “꼬리자르기식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해서라도 비리를 저지른 당사자뿐 아니라 이를 방조하거나 묵인한 자들에 대해서도 철저한 감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는 “도지사가 임명한 인사가 도민의 상식을 벗어나는 비리를 저질러 해임되고, 도립대는 ‘비리의 온상’이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면서 “도지사는 인사권자로서 도립대 사태에 대한 경위를 도민 앞에 직접 설명하고, 부적절한 인사와 부실한 관리에 대해 도민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